리스트 & 튜플
- 순서가 있고, 복수개의 값을 담을 수 있는 데이터 구조
- 실생활에서 사용하느 리스트(학생 리스트, 성적 리스트 등등)과 동일한 의미로 이해
- list - mutable (생성된 후에 변경 가능)
- tuple - immutable (생성된 후에 변경 불가능)
리스트 초기화
- [](대괄호) 안에 값을 담아서 생성
- list() 함수로 생성 (다른 데이터 타입을 리스트로 변환할 때도 사용)
- str.split() 함수로 생성
a = []
print(a)
a = [1, 2, 3, 5, 10]
print(a)
a = ['korea', 'canada', 1, 23, [34, 56]]
print(a)
a = 'hello world'
b = list(a) # 리스트 함수는 주어진 타입을 리스트로 변경해서 생성
print(b)
c = (1, 2, 3) # 튜플
d = list(c)
print(d)
a = "hello world nice weather"
b = a.split()
print(b)
리스트 indexing
- 문자열의 인덱싱과 동일하게 동작
- [] 연산자를 이용하여 항목 얻어오기
- [i] - i번째 원소를 반환
- i가 음수인 경우도 가능하며, 마지막 원소가 -1로 하여 앞으로 갈 때마다 1씩 감소
a = [1, 2, 3, 4, 5, 6]
print(a[2])
print(a[-1])
# 문자열은 불변(immutable)
a = 'hello world'
print(a[0])
b = 'jello world'
c = 'j' + a[1:]
print(a.replace('h', 'j')) # a 자체는 바뀌지 않음
print(d)
print(a)
# 리스트는 불변이 아님
a = [1, 2, 3, 4, 5]
a[0] = 100
print(a)
리스트 slicing
- 문자열 슬라이싱과 동일하게 동작
- 슬라이싱 결과 역시 list
- start:end:increment(기본값 1)
a = [1, 2, 3, 4, 5, 6, 7, 8]
print(a[4:7])
print(a[:7])
print(a[3:])
print(a[:])
# slicing
# start:end:increment
print(a[1:7:2]) # 건너뛰기가 2칸
list 멤버 함수
- 생성된 리스트 객체에 동작하는 함수
- append() : 리스트 끝에 항목 추가
- extend() : 리스트 연장 (+=로도 가능)
#패스트캠퍼스 #패캠챌린지 #직장인인강 #직장인자기계발 #패스트캠퍼스후기 #딥러닝강의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