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ype 함수 : 해당 변수, 값의 타입(type)을 알고자 할 때 사용
a = 10
b = 11.45
type(a)
파이썬은 항상 선언과 동시에 값을 초기화해야 한다.
None : 아무런 값을 갖지 않을 때 사용
- 일반적으로 변수가 초기값을 갖지 않게 하여 해당 변수 생성에 사용
- 기타 언어의 NULL, nil등과 같은 의미로 사용
- 초기에 어떤 값을 갖지 못할 때, 그냥 빈 변수를 만들 때 None을 대입하여 사용
comparison operator (비교 연산자)
- 프로그래밍에서의 비교는 = 대신 == 을 사용
- <, > (작다, 크다)
- <=, >= (작거나 같다, 크거나 같다)
- == 같다
- != 같지 않다
- 비교 연산자의 결과는 bool 타입
a = 5
b = None
c = 4
print(a > c)
print(a < c)
print(a >= c)
print(a <= c)
print(a == b)
print(a != b)
numbers (숫자형 타입) : 정수, 실수로 구성. 수학의 기본 연산자(가감승제) 사용 가능
a = 5
b = 4
print(a + b)
print(a * b)
print(a - b)
print(a / b)
print(a % b)
print(a ** b)
operation priorities (연산자 우선순위) : 기본적인 수학의 연산자와 동일. 강제 연산 선수를 위해 괄호를 사용
a = 5
b = 4
a + b * 4
print((a + b) * 4)
expression evaluation & assignment (식평가 & 대입)
a = 9
t = a - 3
a = t
print(a)
a = 9
a = a - 3
print(a)
#패스트캠퍼스 #패캠챌린지 #직장인인강 #직장인자기계발 #패스트캠퍼스후기 #딥러닝강의
반응형